TCP/IP2 2. HTTP 프로토콜이란 모바일에서 잘 안 보일 수 있습니다. 0.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통신하는 HTTP 텍스트와 이미지 등과 같은 리소스를 필요하다고 요구하는 쪽이 클라이언트가 되고, 이러한 리소스를 제공하는 쪽이 서버가 됩니다. HTTP를 사용하여 2대의 컴퓨터 간에 통신을 하는 경우, 한 번 통신을 할 때마다 반드시 어느 한쪽은 클라이언트가 되고 다른 한쪽은 서버가 됩니다. 이와 같이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별하고 있습니다. 1. 리퀘스트와 리스폰스 HTTP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리퀘스트(요청, Request)가 송신되고, 그 결과가 서버로부터 리스폰스(응답, Response)로 되돌아옵니다. HTTP 통신의 시작은 클라이언트가 되겠고 마무리는 서버쪽에서 됩니다. 클라이언트 리퀘스트 GET /ind.. study/network 2020. 6. 22. 1.3 네트워크의 TCP/IP TCP/IP 인터넷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는 TCP/IP라는 프로토콜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. HTTP는 그중 하나입니다. 이 책(그림으로 배우는 network)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추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 ^^ 0. TCP/IP는 프로토콜의 집합 A와 B가 소통을 하기 위한 조건 세 가지가 있습니다. 첫 번째는 A와 B가 같다. 두 번째는 A와 B는 다르지만 서로가 정한 규칙으로 소통한다. 세 번째는 통역사를 사이에 둔다. 서로 같은 문화권에서는 대부분 1번과 같이 소통합니다. 해외에 나가면 2번, 3번과 같이 소통하게 됩니다. 그래서 전 세계는 하나의 규칙을 만드는데 그것은 바로 세계 공용 언어 '영어'입니다. 서로가 한 규칙을 따르기 .. study/network 2020. 4. 14. 이전 1 다음